기존에 생성했던 AWS 계정은 생성한지 1년이 초과되어 Free Tier 혜택을 받지 못한다.
그렇다고 해당 계정을 삭제하자니 내가 사용하는 Gmail 주소라 삭제할 수도 없어, 프로젝트용 신규 AWS 계정을 생성하기로 했다.
Google 계정 신규 생성
별다른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다.
참고로 AWS Free Tier의 기간 한도는 1년이므로, 1년 주기로 계정을 재 생성하여 Free Tier 혜택을 반복적으로 누리기 위한 사용자라면 기존 이메일 계정을 사용하지 말고 신규 Google 계정을 추가로 만들 것을 추천한다.
AWS 계정 신규 생성
Google 계정을 새로 생성했다면, AWS 사이트(https://aws.amazon.com/)로 들어가자. 우측 상단을 보면 AWS 계정 생성 버튼이 보인다.
클릭하여 절차를 차례대로 따르면서 가입을 진행한다.
두번째 단계쯤 보면 국가 또는 리전을 선택하는 단계가 나타나는데, Google의 GCP 경우에는 프리 티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특정 리전에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하는 등의 제약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지만 AWS는 제약이 없다고 한다.
빠른 속도를 위해 대한민국 리전으로 선택하여 가입하도록 하자.
신용카드 정보 등을 입력하고 마지막 단계쯤에 다다르면 Support 플랜을 선택하는 부분이 나타나는데, '기본 지원 - 무료'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
무엇을 선택하건 AWS 기능을 사용하는 데는 차이가 없고, 무슨 일이 생겼을 때 AWS에 지원 요청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느린 서비스를 받느냐, 돈을 더 주고 빠른 서비스를 받느냐의 차이가 있는 것이므로 일반 개인 개발자들은 무료 항목을 선택하고 가입을 진행하면 된다.
플랜을 선택하고 나면 가입이 완료된다.
계정을 활성화하는 데 몇 분이 걸린다고 나와 있으니 조금 기다려 보자.
잠시 후 로그인했을 때, 아래와 같이 AWS Console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면 가입이 완료된 것이다.
끝.
'혼자 다 해볼거야 > Cloud &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sudo 계정 패스워드 초기화 및 sudo 계정으로 전환 (0) | 2023.01.24 |
---|---|
[AWS] EC2 Tomcat 설치 및 WAS 구동 (0) | 2023.01.23 |
[AWS] SSH로 EC2 접속하기 (w/PuTTY) (0) | 2023.01.20 |
[AWS] Free Tier EC2 생성 (0) | 2023.01.20 |
기술 스택 선정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