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적인 아키텍쳐를 그리기 전에, 12개월 & 월 750 시간으로 기간이 정해져 있는 EC2 Free Tier가 아깝기도 하고, 뭔가 하나라도 실제 웹 상에서 퍼블리싱이 되어 구동되는 모습이 보여야 더욱 흥미가 붙을 것 같아 EC2부터 한 대 생성하기로 한다.
AWS 계정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콘솔에 접속한다.
(AWS 계정 생성 방법은 이전에 업로드한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혼자 다 해볼거야/Cloud & Architecture] - AWS Free Tier 계정 생성 |
Free Tier 기준
AWS는 GCP와는 다르게 컴퓨팅 서비스에 평생 Free Tier 개념이 없다. 대신에 계정을 생성한 후 12개월동안 750시간/월의 무료 혜택을 제공한다.
한 달 750시간이란, 1개의 EC2를 생성한 경우에는 일일 24시간 구동을 기준으로 약 31일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므로, 하나만 공짜로 사용하라는 말이다.
두 개 이상의 EC2를 생성할 경우, 하루 종일 두 인스턴스를 구동시킨다면 무료 혜택을 초과하게 되어 비용이 부과되므로 참고하자.
다른 서비스들의 Free Tier 기준은 아래 AWS 사이트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AWS Free Tier 살펴보기 |
생성
AWS Console에서 EC2 메뉴 진입 >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
이후 표시되는 메뉴에서 생성될 서버의 OS 등 여러가지 사양을 선택해야 한다.
OS는 Amazon Linux, 레드햇 계열의 Red Hat Linux, (CentOS는 2021년 서비스 지원 종료로 없어진 듯 하다), 데비안 계열의 Ubuntu등이 제공된다.
Windows Server도 프리 티어 OS로 제공되나 프리 티어 인스턴스 사양으로는 돌리기가 버거울 것 같아 무시한다.
구글링을 하며 한참을 고민하다 우선은 Ubuntu로 생성하기로 결정했다.
인스턴스 유형은 t2.micro로 선택하였고, 키 페어는 기존에 생성해 둔 것이 없으므로 신규로 생성하였다.
나는 PuTTY를 사용하여 SSH 접속할 예정이므로 ppk 파일 형식으로 생성하였다.
생성을 클릭하면 ppk 확장자로 된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되는데, 나중에 PuTTY 접속 설정 시 사용되기도 하고 보안 상 중요한 Key가 되므로 안전한 곳에 꼭꼭 숨겨 보관하도록 하자.
다음으로 항상 중요하고도 복잡한 네트워크 설정 단계인데, 다른 것들은 기본값으로 그대로 두었으며 보안 그룹 이름은 내 마음에 드는 이름으로 변경해 주었다.
인바운드 보안 그룹 규칙은 SSH Port(기본 22)를 활용해 해당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한 제일 기본적인 Rule을 등록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소스 유형은 '위치 무관'의 경우 어떤 IP로 접속하더라도 접속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것이고 '사용자 지정' 또는 '내 IP'로 선택할 경우 특정 IP를 직접 입력하거나 지금 접속하고 있는 IP로 한정하여 EC2에 접속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용 인터넷 공유기 설정은 유동 IP를 할당받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도 하고,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 카페에서 공용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있다 보니 '위치 무관'으로 우선 생성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스토리지 부분인데, 프리 티어의 경우 SSD 타입의 스토리지까지 포함하여 총 30Gb가 무료 용량으로 제공된다. 이번 인스턴스에는 8Gb만 할당하여 쓰기로 한다.
gp2가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으나 gp3가 (서비스의 I/O 패턴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더 낫다고 알고 있어 gp3로 변경하여 생성하기로 한다.
기타 설정은 건드리지 않고 생성을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이 약간의 시간이 지난 뒤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다.
이후 모든 인스턴스 보기 버튼을 눌러 대시보드로 이동하면, 내가 생성한 인스턴스가 한 줄 표시되고 '인스턴스 상태'가 '실행 중'으로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끝.
'혼자 다 해볼거야 > Cloud &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sudo 계정 패스워드 초기화 및 sudo 계정으로 전환 (0) | 2023.01.24 |
---|---|
[AWS] EC2 Tomcat 설치 및 WAS 구동 (0) | 2023.01.23 |
[AWS] SSH로 EC2 접속하기 (w/PuTTY) (0) | 2023.01.20 |
[AWS] Free Tier 계정 생성 (0) | 2023.01.15 |
기술 스택 선정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