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에 처음 쓰는 글이 되겠다.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네이버 블로그에 대강 휘갈겨 써 두었고, 회사 성과급도 어느정도 윤곽이 드러난 듯 하니 이제 정말 내 자만심대로 '내가 한번 해볼거야' 라며 박차고 나갈거라면, 진짜 슬슬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가장 막연한 부분은 웹과 관련된 기술 스택이다.
개발을 놓은 지 좀 되었지만, 그럼에도 누가 내 주 언어를 묻는다면 나는 여전히 커리어를 처음 시작했을 때 접했던 C#을 댈 것이다. 그만큼 웹과 동떨어져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다.
그런 만큼 리서치를 통해 개발 언어와 프레임워크 등을 신중하게 택하려고 고민하는 중이다.
주된 포인트는 아래 정도가 될 것이다.
- 범용성 - 평생 백수로 살 수는 없기에, 이 프로젝트가 포트폴리오로 사용될 것을 감안하여 시장에서 선호하는 범용성 높은 기술들로 선정해야 함
- 개발 용이성 - 내 곳간의 밑천이 다 드러나기 전에 이 프로젝트로 뭔가 이뤄내야 함. 따라서 쉽고 빠른 기술을 선택해야 하므로 개발 용이성 또한 간과할 수 없음
범용성의 경우는 아래 B.Iog님의 글을 참고하였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외하고 나머지 항목들은 두 기업 기술 스택의 교집합을 잘 살펴보고 아래 표와 같이 대강 정리해 보았다.
네이버/카카오가 사용하는 기술 스택 (by B.Iog) |
Cloud Service | AWS GCP |
Language | Java Javascript Python |
Front-end Framework | React Vue |
Back-end Framework | Spring SpringBoot Node.js |
Database | MySQL Redis ElasticSearch |
Cloud Service
AWS는 지난 팀에 있었을 당시 사업팀 인프라 담당자로 있으면서 어깨 너머로 배운 경험이, GCP의 경우 프리 티어를 활용해 기본적인 학습을 했던 경험들이 남아 있어 조금은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 같다.
지금 가능한 수준에서 차근차근 시작해보는 중이다.
[혼자 다 해볼거야/Cloud & Architecture] - [AWS] Free Tier EC2 생성 [혼자 다 해볼거야/Cloud & Architecture] - [AWS] SSH로 EC2 접속하기 (w/PuTTY) |
Language
웹의 근간이 되는 JavaScript, 신입 교육 이후에는 (거의) 본 적도 들은 적도 없어져서 대부분 머릿속에서 날아가 버렸다.
너무 기본적인 내용일 수 있지만, 프레임웤이 아닌 바닐라 JS부터 다시 좀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노마드 코더 사이트의 무료 바닐라 JS 강의를 통해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있다.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 노마드 코더 |
이 외에도 정해야 할 것들, 개발해야 할 것들이 산더미이기에 빨리 공부하고 빨리 결정해서 움직여야겠다.
끝.
'혼자 다 해볼거야 > Cloud &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sudo 계정 패스워드 초기화 및 sudo 계정으로 전환 (0) | 2023.01.24 |
---|---|
[AWS] EC2 Tomcat 설치 및 WAS 구동 (0) | 2023.01.23 |
[AWS] SSH로 EC2 접속하기 (w/PuTTY) (0) | 2023.01.20 |
[AWS] Free Tier EC2 생성 (0) | 2023.01.20 |
[AWS] Free Tier 계정 생성 (0) | 2023.01.15 |